

KAIST, 머리카락 1,000분의 1 나노섬유 혁신, 세계 최고 CO₂ 전해전지 개발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시장 가치가 높은 화학물질로 전환할 수만 있다면, 환경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높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국내 연구진이 이산화탄소(CO2)를 일산화탄소(CO)로 전환하는 고성능 ‘세라믹 전해전지’를...
3월 31일


KAIST, 인공지능으로 그린수소와 배터리 신소재 찾았다
그린수소 또는 배터리 분야 등 청정 에너지의 성능을 높이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소재 중 하나는 전극이다. 한국 연구진이 차세대 전극 및 촉매로 활용될 수 있는 신소재를 효율적으로 설계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통해 친환경...
2024년 11월 21일


현존 최고 성능 세라믹 전기화학전지 개발
< (왼쪽부터) KAIST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신소재공학과 정우철 교수, KIER 이찬우 박사, 전남대 송선주 교수> < (왼쪽부터) KAIST 기계공학과 김동연 박사과정, 정인철 박사, 신소재공학과 안세종 박사과정> 온실가스 배출량을...
2024년 5월 14일


그린수소 생산에 탁월한 전해질 신소재 개발
< (왼쪽부터) 우리 대학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메릴랜드 대학 에릭 왁스만 교수, 우리 대학 유형민 박사과정, 정인철 박사, 장승수 박사과정 > 그린수소는 풍력, 태양광등 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생산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는 궁극적인...
2023년 11월 22일


차세대 연료전지용 초고성능 ‘만능 전극’ 개발
< (왼쪽부터) KAIST 신소재공학과 정우철 교수, KAIST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AECSL) , 홍익대 김준혁 교수, KAIST 김동연 박사과정 (AECSL) , 안세종 박사과정 > 연료전지란 청정에너지원인 수소를 이용해 고효율로 전력을...
2023년 8월 9일
![차세대 양방향 수소연료전지, YTN 사이언스 [기술자들] 방영](https://static.wixstatic.com/media/545315_59714532572d4fdea4e31b4e303dd360~mv2.jpg/v1/fill/w_44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545315_59714532572d4fdea4e31b4e303dd360~mv2.webp)
![차세대 양방향 수소연료전지, YTN 사이언스 [기술자들] 방영](https://static.wixstatic.com/media/545315_59714532572d4fdea4e31b4e303dd360~mv2.jpg/v1/fill/w_672,h_378,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545315_59714532572d4fdea4e31b4e303dd360~mv2.webp)
차세대 양방향 수소연료전지, YTN 사이언스 [기술자들] 방영
최근 방송된 YTN 사이언스 [기술자들] 프로그램에서 미래 에너지를 이끌어갈 차세대 에너지 원으로 우리 연구실의 친환경 양방향 수소 연료전지 기술을 취재하였습니다. AECSL 의 주 연구분야에 대해서 널리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습니다....
2023년 3월 21일


돼지표피에서 추출한 젤라틴 활용해 고성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개발
< (왼쪽부터)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유형민 석사과정, 임하니 박사후연구원 > 우리 대학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연구팀이 돼지 표피에서 추출한 젤라틴을 활용해 수백 나노 수준의 매우 얇은 고 치밀성 다중도핑 세라믹 박막 제조 기술을 적용한...
2022년 12월 8일


상용 디젤로부터 수소 생산 가능한 개질 촉매 개발
< (왼쪽부터) 기계공학과 배중면 교수, 이강택 교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찬우 박사 > KAIST 기계공학과 배중면 교수, 이강택 교수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이찬우 박사 공동 연구팀이 상용 디젤로부터 수소 생산이 가능한 고활성,...
2022년 8월 17일


탄소중립을 위한 차세대 에너지 변환기술인 고성능 프로토닉 세라믹 연료전지 개발 성공
< (왼쪽부터)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김동연 박사과정, 배경택 박사과정 > 우리 대학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연구팀이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초고속 소결 공정을 통해 고성능 프로토닉 세라믹 연료전지(PCFC) 개발에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2022년 8월 3일


차세대 에너지 변환기술인 양방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스마트 전극 개발
<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포스텍 한정우 교수, 한국세라믹기술원 신태호 박사 > 카이스트 이강택 교수 연구팀이 포스텍 한정우 교수, 한국세라믹기술원 신태호 박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양방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용 고성능 전극 소재...
2022년 6월 21일